Category: 네트워크_재정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

윈도우즈 설정에 따라 시스템의 한글이 깨져서 보이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아래와 같이요

이 경우 아래와 내용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설정에서 변경하는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아래 웹페이지를 참고하셔서 과정 1, 2 모두 진행 부탁드립니다.,

이미지 위주로 따라해주시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입니다.

과정 1

https://blog.naver.com/lcj8390/220710559126

과정 2

https://blog.naver.com/lcj8390/220714617155

감사합니다.

재정 결산보고 인쇄

교회의 재정 업무에서 매주 발생하는 결산보고에 대한 기능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매주 헌금과 지출을 입력하신 후 결산보고를 하게 되는데요, 일일이 금액을 확인하실 필요 없이 기간만 조회하면 바로 인쇄 가능하고, 엑셀로도 저장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재정시스템 메인 화면에서 ‘현금출납장’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상단에 검색 기간을 설정하신 후 검색(돋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간동안의 내역이 화면과 같이 나옵니다.

위 내용을 확인하신 후 위 화면 아래쪽에 보이시는 미리보기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결산보고 양식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이걸로 결산보고가 종료되는 것이지요. 엑셀을 통해 합을 구하고 더하고 빼로 해서 따로 양식을 작성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만약 별도의 양식을 사용하시거나 시스템에 기록 외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신 경우 ‘엑셀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엑셀에서 추가 작업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 내용의 기능이 많은 도움 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ags: , , , ,

예산관리 수입예산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예산관리의 수입예산 설정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수입의 경우 설정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회기기간을 입력

2. 헌금리스트를 입력

3. 각 헌금의 예산금액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미션21클라우드 재정관리 로그인 후, 왼쪽 메뉴 리스트의 아래에 보시면 환경설정 메뉴가 있습니다.

회기기간 입력은 환경설정의 첫 화면에서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헌금항목설정 탭에서 헌금명을 추가해줍니다. 명칭을 입력하신 후 ‘추가’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예산설정 탭에 보시면 입력하신 헌금항목 리스트가 왼쪽에 보여집니다. 오른쪽의 예산금액 칸은 비어있습니다.

마우스로 각 칸을 더블클릭하신 후 커서가 깜빡이면 값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값을 입력하신 후 ‘엔터’를 클릭하시고 다시 칸이 선택되면 방향키로 아래로 이동 후 다시 ‘엔터’를 클릭하시거나 마우스로 더블클릭하여 커서가 칸 안에서 깜빡이면 금액을 입력하신 후 ‘엔터를 치시면 됩니다.

순서를 정리하면

1. 마우스로 칸 클릭 후 더블클릭

2. 칸 안에서 커서가 깜빡이면 예산금액을 입력합니다.

3. ‘엔터’를 칩니다.

4. 아래 칸으로 이동합니다.

5. 다시 과정[1] 부터 과정[3]의 순서를 반복하여 예산금액을 입력합니다.

##########################################################

예산금액을 모두 기록하신 후 메인화면 왼쪽 메뉴 상단의 예산관리(수입지부)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각 예산에 기록된 헌금 합계를 보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ags: , , ,

예산관리 지출 설정 방법

재정관리 시스템의 예산관리 기능에 대한 설명을 드립니다.

우선 예산의 관리는 회기기간을 기준으로 설정됩니다.

회기기간 설정은 재정프로그램 환경설정에서 설정 가능합니다.

로그인 후 첫 화면인 아래 화면에서 왼쪽 아래에 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아래 화면에서와 같이 회기년도를 설정합니다. 전년도 회기년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계정 생성 시 설정된 회기기간이 기록되기 때문에 올 해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지출의 예산 설정은 [항]과 [목]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항]은 큰 의미의 그룹을 의미하고 [목]은 실제 지출 금액 입력 시 사용하는 계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항]은 아래와 같이 화면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항]에서 입력하신 코드는 예산관리(지출지부)에서 지출예산 입력 시 나타나게 됩니다. 지출예산의 경우 [항]에 입력된 설정값을 가져오기 때문에 [목]에 계정을 추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예산 설정이 가능합니다.

왼쪽 아래의 공통계정 체크는 공통계정을 사용하시고자 하는 경우 체크하시면 되고, 그렇지 않고 모든 지출그룹과 세부계정을 직접 생성하셔서 기록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체크를 해제하시면 리스트에 나타나지 않고, 지출금액 입력 시에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공통계정 포함을 체크 해제했을 때,

공통계정 포함을 체크했을 때,

[항]의 추가는 아래 보이시는 ‘등록’버튼을 통하여 할 수 있습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넣은 지출그룹은 나중에 예산관리(지출지부)에서 표현되고, ‘등록’버튼을 클릭하여 예산금액을 입력하게 됩니다.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

[목] 또한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지출금액 입력 시 계정코드는 아래 보이는 [목]에서 가져옵니다. 따라서 [항]에 해당하는 그룹면만 입력하신 후 [목]을 입력하지 않으신 경우 지출 금액 입력 시 계정 리스트가 비어있게 됩니다.

공통계정 포함을 체크 해제했을 때

공통계정 포함을 체크했을 때,

지출계정의 추가는 위 화면의 아래에 보이시는 ‘등록’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공통계정 포함’을 체크 해제하시면 아래와 같이 직접 입력한 그룹만 보여집니다.

나머지 입출금 구분과 계정처리, 관련항목 등을 선택하시면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이 값들은 그대로 두고 추가버튼을 누루시면 됩니다.

 

########################################################

이렇게 입력하신 후 메인화면의 예산관리(지출지부)를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시게 됩니다. 지출그룹[항]을 입력하실 때 예산금액을 입력하신 경우에는 아래에 그 입력된 금액과 함께 나타나게 됩니다. 보이지 않은 지출그룹에 대해서는 화면 아래의 ‘등록’버튼을 클릭하셔서 추가할 수 있습니다. 즉 예산관리(지출지부)화면에 아무것도 안보이셔도 당황하지 마시고 화면 아래에 있는 ‘등록버튼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회기기간동안 입력된 지출금액을 위 코드를 기준으로 합산하여 현 지출금액 및 비율, 잔액 등을 보여줍니다.

 

등록버튼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예산추가 화면이 나타나도, 그룹명에는 역시 환경설정에서 공통계정 포함’의 체크여부에 따라 리스트가 보여지게 됩니다. 항목은 그룹명의 항목으로 자동으로 선택한 그룹명의 값이 복사되어지고, 단지 예산액만 입력하신 후 ‘추가’버튼을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Tags: , , ,

헌금입력 방법

안녕하세요, 재정프로그램에서 헌금 기록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재정프로그램은 교적에서 생성하신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 가능합니다. 비밀번호은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비밀번호는 재정프로그램 로그인 시에 적용됩니다. 교적의 비밀번호는 함께 변경되지 않습니다.

아래 로그인 화면에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신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헌금입력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재정프로그램의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서버의 버전이 업데이트되면 사용자의 프로그램에도 업데이트 되었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혹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재정 프로그램의 버전이 최신 버전인지 궁금하시다면 ‘확인’버튼 오른쪽 아래의 ‘강제업데이트‘를 클릭하셔서 업데이트를 수행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시면 아래와 같은 입력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사용 방법은 우선 ‘성명’ 칸에 이름을 입력하신 후 ‘Enter’를 클릭하시면 입력하신 이름의 성도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검색 리스트를 보여주게 됩니다. 따라서 헌금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교적프로그램에서 성도를 등록하시거나 또는 재정프로그램의 아래 화면에서 왼쪽 메뉴 중 ‘성도 및 기관 입력’을 통해 성도를 먼저 등록하셔야 합니다.

성도의 이름을 검색하시면 교인번호 칸에 해당 성도의 교인번호가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다음으로 헌금종류를 선택(헌금종류는 환경설정에서 먼저 등록하신 것을 선택하실 수 있음)하신 후 ‘Enter’, 다음으로 금액을 입력하신 후 ‘Enter’를 입력하여 헌금입력 내용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재정프로그램에서 등록하신 성도 혹은 기관은 교적관리에서 검색되지 않습니다. 재정프로그램에서 등록하신 성도의 정보는 교적관리 프로그램에서 ‘제적관리’의 ‘헌금기관’ 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저장버튼 아래 보이는 개인헌금내역의 그래프는 오른쪽의 ‘개인헌금내역보기’가 체크되어 있을 때 나오게 됩니다. 혹시나 헌금내역을 가져오는 시간이 오래걸린다고 생각되시면 체크를 해제하시면 빨라지게 됩니다.

금일 기록된 헌금은 재정프로그램 화면의 왼쪽 표에 차례대로 보여지게 됩니다.

헌금 기록을 ‘무명’으로 입력하고자 하시는 경우에는 헌금 기관으로 ‘무명’을 미리 등록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성명에 ‘무명’으로 검색하셔서 헌금 금액을 기록해주시면 됩니다. 이후의 모든 통계에서도 ‘무명’으로 집계되어지게 됩니다.

 

문의가 있으시면 언제라도 이메일이나 핸드폰으로 연락 바랍니다.

E-mail : mission21@gmail.com

감사합니다.

 

Tags: , , , , , , ,

미션21 암호화 데이터 통신

안녕하세요,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카드번호 입력 시에 내가 입력한 카드번호를 혹시 다른 사람들이 보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SSL 기반의 데이터 통신입니다. SSL 기반의 데이터 통신은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부터 시작하여 서버와 주고받는 모든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법입니다. 이 경우 다양한 해킹 방법을 동원하더라도 내가 사용하고 있는 디바이스가 아닌 이상 그 내용을 확인할 방법이 없습니다.

미션21클라우드의 데이터 통신이 바로 이러한 SSL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사용합니다.
이 것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쉬운 것은 웹브라우저에 나오는 열쇠 모양의 아이콘입니다.
특히 크롬의 경우에는 친절하게 ‘안전함’이라고 보여지기까지 합니다.

 

SSL 기반의 데이터 통신이 아닌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느낌표를 보여줍니다.

인터넷익스플로러나 애플의 사파리 같은 경우에는 열쇠모양만 보여지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미션21클라우드가 SSL 기반의 데이터 통신 기법을 도입하는 이유는 바로 성도의 개인정보를 다루기 때문입니다.

개인정보를 다루는 서비스는 데이터가 생명이기 때문에 미션21은 데이터암호화와 동시에 암호화기반의 데이터 통신 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Tags: , , ,

데이터 변환

아마도 교적관리를 입력하시거나 변경하실 계획이 있는 경우, 가장 부담스러운 부분이 데이터 입력일 것입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추가로, 보안 문제 또한 걱정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미션21은 데이터 업로드 성공 즉시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메일에서도 삭제합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도 알아볼 수 없습니다.

아래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신 후 작성해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템플릿파일다운로드

기존 관리시스템이 있거나 엑셀로 관리하는 데이터가 있는 경우

엑셀로 관리하고 있는 교적 데이터를 업로드해드립니다. 미션21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형식대로만 맞추어서 보내주시면 일괄로 입력해드립니다.

이는 최초 데이터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교적프로그램의 사용을 쉽게 포기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엑셀로 관리하는 데이터가 없는 경우

PC용 교적관리시스템을 사용하여 ‘교인등록’ 기능에서 신앙세대주의 정보와 가족의 정보를 입력하신 후 ‘저장’버튼을 클릭하시면 성도의 정보와 가족의 정보가 저장됩니다.

 

감사합니다.

Tags: , , ,

미션21데이터암호화 및 SSL 기반통신

이미지 참조:http://creator0609.tistory.com/entry/SSL-이란

SSL(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은 처음에 Netscape사에서 웹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의 보안을 위해 만들었습니다. SSL은 Certificate Authority(CA)라 불리는 서드 파티로부터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인증을 하는데 사용되고 위 이미지는 그에 대한 간략한 도식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미지에서 보는바와 같이 주고 받는 데이터가 모두 암호화되어 전송됩니다. 따라서 나의 PC 혹은 아이폰, 안드로이드폰을 떠나는 순간에서부터 검색 결과 받아서 눈으로 보이는 순간 까지의 과정이 모두 암호화되어 누군가 해킹하려고하는 위험에 안전하다는 것입니다. 데이터 보안에 있어 데이터베이스 자체를 암호화하여 저장/관리하는 것 못지않게 가장 중요한 프로세스입니다.

아래는 SSL이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간단한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참조: https://wiki.kldp.org/HOWTO/html/SSL-Certificates-HOWTO/x70.html)

  1. [웹브라우저] SSL로 암호화된 페이지를 요청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https://가 사용된다)
  2. [웹서버] Public Key를 인증서와 함께 전송한다.
  3. [웹브라우저] 인증서가 자신이 신용있다고 판단한 CA(일반적으로 trusted root CA라고 불림)로부터 서명된 것인지 확인한다. (역주:Internet Explorer나 Netscape와 같은 웹브라우저에는 이미 Verisign, Thawte와 같은 널리 알려진 root CA의 인증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날짜가 유효한지, 그리고 인증서가 접속하려는 사이트와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4. [웹브라우저] Public Key를 사용해서 랜덤 대칭 암호화키(Random symmetric encryption key)를 비릇한 URL, http 데이터들을 암호화해서 전송한다.
  5. [웹서버] Private Key를 이용해서 랜덤 대칭 암호화키와 URL, http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6. [웹서버] 요청받은 URL에 대한 응답을 웹브라우저로부터 받은 랜덤 대칭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해서 브라우저로 전송한다.
  7. [웹브라우저] 대칭 키를 이용해서 http 데이터와 html문서를 복호화하고, 화면에 정보를 뿌려준다.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서비스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며, 미션21은 이름을 포함하여 핸드폰번호, 주소, 이메일을 암호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서 2중의 안전장치를 기본 탑재하고 있습니다.

 

 

 

Tags: , , ,